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10

일반적 특성론과 특수적 반응론 인간의 행동에 관한 쟁점 가운데 간과해서 안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인간의 행동은 상황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가, 아니면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는 가끔 많이 배운 사람은 역시 다르다고 하기도 하고 그 사람은 믿어도 된다고도 하며 그 말에 동조하기도 한다. 그러한 말과 동조의 바탕에는 인간의 행동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행동은 상황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비슷하고 안정적이라는 견해를 일반적 특성론이라 한다. 이러한 일반적 특성론은 정신분석학자들과 인지 발달론자들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매키논은 아동들이 남에게 피해를 준 행동을 하고 나서 느끼는 죄악감이 그의 평소의 도덕적 행동과 상당한 일관성을 보이고 있음을 밝혀냈다. 인.. 2020. 9. 25.
결정론과 자유론 인간의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한 견해는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달라진다는 견해와 인간의 주관적 판단과 선택적인 대응에 의하여 달라진다는 견해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를 결정론 후자를 자율론이라고 한다. 결정론은 돌라 드, 밀러, 스키너 등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 의하여 지지되었다. 이들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은 특정한 행동을 하게 할 가능성을 높여 주는 외적 자극, 즉 강화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한다. 즉 인간도 고통은 피하려 하고 편안함은 누리려 하는 조건반사적인 반응을 보이는 동물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은 벌을 받은 행동은 피하려 하고 칭찬을 받은 행동은 다시 하려는 반사적 반응을 통하여 형성된다고 한다. 이때의 반사적 반응을 일으키는 외적 자극을 강화요인이라고 한다. 제2차 세.. 2020. 9. 25.
유전론과 환경론 인간의 행동에 관한 이론적 쟁점은 다양하다. 그 가운데 가장 전형적인 것은 유전론과 환경론의 대립이다. 전자는 인간의 행동은 타고난다고 하는 주장이고 후자는 후천적으로 길러진다는 주장이다. '성질이 급하다, 부모 말에 순종한다'등과 같은 인간의 행동적 특성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 유전론자들의 주장이다. 이 같은 주장으로는 1910년대 고다드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마틴 칼리 탁이라는 가명을 가진 장교가 명문 출신 부인과 결혼하여 얻은 자손들과 작부 출신의 정부와 낳은 자손들이 여러 가지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명문 출신 부인 소생의 자손들은 정신적으로도 건강하고 모범적인 데 비하여 작부 출신 정부 소생은 성질도 급하고 문제를 많이 일으켰다고 한다. 유전론의 근.. 2020. 9. 25.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방법 예로부터 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왔는데 그 가장 오래된 방법은 직관적 방법이다. 직관이란? 객관적 증거는 댈 수 없지만 일과 사물의 존재나 관계, 그리고 그 변화 동향에 관하여 순간적으로 인식하거나 체계화하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대상 인식능력을 말한다. 이 같은 직관의 발달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차이는 선천적인 경우도 있지만 연마에 의하여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직관적 방법은 근대의 자연과학적 방법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가장 전형적인 연구방법이었기 때문에 근대 이전의 학자들은 직관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하여 왔다. 그러나 직관적 방법은 과학적인 연구방법이 지배적인 오늘날에도 완전히 쓸모가 없다든가 학문 탐구 방법으로서 자격이 없는 것으로.. 2020.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