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 사회환경10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인간 생태계 일원으로의 인간 지난 수 세기 동안 적어도 근대 서구에서는 인간은 자연 또는 생태계의 일원이라는 인식을 거의 하지 못하였다. 물론 인간들은 자신과 자연과의 관계를 생각하기 이전부터 자연을 이용하였다. 수렵, 어로 시대에는 자연은 자신의 생존에 필수적인 먹이를 제공하는 대상인 동시에, 이간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거대한 힘의 존재로 인식되었다. 자연숭배 사상은 인간의 초기 자연 인식을 그대로 드러내 준다. 농업이 발달하면서 인간은 자연을 지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되었고 실제로 토지 개간, 농업생산물 증대, 주거공간 확보, 그리고 이를 위한 도구와 기술혁신을 통하여 자연은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켜 왔다, 도시의 발달은 인간의 자연활용을 넘어 파괴로 이어졌다. 그러나 그것은 문제시되지 않았고 오히려.. 2020. 9. 8. 인간행동의 이해 필요성 인간행동의 이해 우리는 가끔 자기 자신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할 때가 많다. 자신의 생각의 흐름을 읽을 수 있고 자신이 어떠한 행동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도 간파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누군가 인간과 인간의 행동에 대하여 말을 하면 그렇게 신기해하지도 않고 관심도 보이지 않으려 한다. 더구나 기업의 경영전략을 세우거나 국가정책을 수립하는 경우에도 인간의 본성이나 행동적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데는 인색한 편이다. 그러나 개인적 삶이건 집단적 삶이건 우리들의 일상적인 삶은 특정 개인 또는 보편적인 인간의 본성이나 행동적 특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없다. 또한 인간과 인간의 행동은 우리 자신들의 개인적 또는 집단적인 삶을 영위하거나 보다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데.. 2020. 9.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