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 결정론과 자유론 인간의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한 견해는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달라진다는 견해와 인간의 주관적 판단과 선택적인 대응에 의하여 달라진다는 견해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를 결정론 후자를 자율론이라고 한다. 결정론은 돌라 드, 밀러, 스키너 등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 의하여 지지되었다. 이들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은 특정한 행동을 하게 할 가능성을 높여 주는 외적 자극, 즉 강화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한다. 즉 인간도 고통은 피하려 하고 편안함은 누리려 하는 조건반사적인 반응을 보이는 동물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은 벌을 받은 행동은 피하려 하고 칭찬을 받은 행동은 다시 하려는 반사적 반응을 통하여 형성된다고 한다. 이때의 반사적 반응을 일으키는 외적 자극을 강화요인이라고 한다. 제2차 세.. 2020. 9. 25. 유전론과 환경론 인간의 행동에 관한 이론적 쟁점은 다양하다. 그 가운데 가장 전형적인 것은 유전론과 환경론의 대립이다. 전자는 인간의 행동은 타고난다고 하는 주장이고 후자는 후천적으로 길러진다는 주장이다. '성질이 급하다, 부모 말에 순종한다'등과 같은 인간의 행동적 특성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 유전론자들의 주장이다. 이 같은 주장으로는 1910년대 고다드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마틴 칼리 탁이라는 가명을 가진 장교가 명문 출신 부인과 결혼하여 얻은 자손들과 작부 출신의 정부와 낳은 자손들이 여러 가지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명문 출신 부인 소생의 자손들은 정신적으로도 건강하고 모범적인 데 비하여 작부 출신 정부 소생은 성질도 급하고 문제를 많이 일으켰다고 한다. 유전론의 근.. 2020. 9. 25.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방법 예로부터 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왔는데 그 가장 오래된 방법은 직관적 방법이다. 직관이란? 객관적 증거는 댈 수 없지만 일과 사물의 존재나 관계, 그리고 그 변화 동향에 관하여 순간적으로 인식하거나 체계화하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대상 인식능력을 말한다. 이 같은 직관의 발달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차이는 선천적인 경우도 있지만 연마에 의하여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직관적 방법은 근대의 자연과학적 방법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가장 전형적인 연구방법이었기 때문에 근대 이전의 학자들은 직관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하여 왔다. 그러나 직관적 방법은 과학적인 연구방법이 지배적인 오늘날에도 완전히 쓸모가 없다든가 학문 탐구 방법으로서 자격이 없는 것으로.. 2020. 9. 25.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학문 인간의 행동 예측과 통제에 관한 일상적인 관심과 실천은 학문 탐구의 주요 관심사이기도 하다. 정확하게 말하면 학문 특히 사회과학은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지식체계를 축적하는 활동이다. 순수 과학주의에서 보면 인간 행동의 예측과 통제는 학문의 본질이 아니라고 받아들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학문에서 예측이란 이론 형성의 다음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추구하는 목표이다. 또한 통제도 이론화 결과가 가져다주는 필수적인 절차이다. 이렇게 보면 예측과 통제는 사회과학의 본질이 아니라고 말하기 어렵다. 인간 행동의 예측과 통제에 관한 지식을 축적하는 사회과학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학문으로는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을 꼽을 수 있다. 이 밖에 사회복지학, 교육학, 경영학 등도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고 예측하는.. 2020. 9. 2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