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행동의 의미
인간과 인간의 행동이 어떠하다고 간단하게 답하기는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인간은 똑같은 일과 사물을 보고도 전혀 다른 생각과 판단을 하기도 하고 똑같은 상황에서도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은 특정한 상황에 처하면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전적인 의미의 행동이란 '유기체의 내적인 혹은 외적인 자극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 또는 다른 유기체의 반응을 촉발하기 위한 자극'으로 이해된다.' 이때 행위 주체가 동물인 경우는 동물의 행동이 되며, 인간인 경우에는 인간의 행동이 된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은 자세히 살펴보면, 단순한 자극과 반응 형식으로만 볼 수 없다.
즉 동물의 경우와는 달리 인간은 잘못을 지적하는 방식이나 그 지적에 대하여 반응하는 방식이 지역과 시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한국 사람은 미국 사람과 달리 어린이가 공공장소에서 떠드는 행위에 대하여 관대한 편이고, 윗사람의 무원칙한 행동은 아랫사람의 그것보다 더 용인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인간의 행동과 동물의 행동의 또 다른 차이는 개체 간에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즉 같은 한국 사람이라도 똑같은 잘못에 대하여 혼내는 방식이나 그 혼냄에 대하여 마음의 상처를 받는 정도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인간의 행동은 인간에 의하여 창조되고 학습을 통하여 전승되며 같은 자극에 대한 반응 방식도 개인에 의하여 선택되고 조절된다.
이런 의미에서 인간의 행동이란 인간이 사회적으로 창조하고 학습한 반응 자극과 피자극 반응 양식을 주어진 상황과 조건 속에서 의미 있다고 판단한 바에 따라, 또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선택한 행동을 총칭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 행동에는 사고력이나 역량 등과 같은 일반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행동이 포함된다.
또한 마음, 동기, 학습, 성격, 이상행동 등과 같은 심리학적인 성향의 행동도 포함된다. 그리고 규범, 도덕성, 역할, 집합행동 등의 사회적인 행동과 시민성, 사회참여, 등과 같은 사회교육학에서의 시민적 행동도 모두 포괄한다.
이와 같이 인간 행동의 개념들은 각 학문의 연구 시각과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개념화되고 연구된다. 따라서 그 의미는 어떠한 학문 영역에 의거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인간 행동은 이들 여러 학문의 개념과 이론을 비교하여 이해할 때에만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정치학적인 의미의 권력과 사회학적인 의미의 권력은 각각 어떻게 개념화되고 있으며 사회학에서의 이해관계와 경제학에서의 이해관 계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이해하여야 인간 행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 행동의 개념 마음
인간 행동의 개념 중 마음이란 정신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보통 인간의 생각하는 능력, 일과 사물을 구분 짓거나 그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또한 그것은 자기 자신의 생각의 흐름을 포착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능력도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능력은 인간이 태어나면서 그렇게 할 가능성으로 존재할 뿐이다. 그것이 나는 누구인가, 어른을 만났을 때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어른에 대한 나의 공경심은 적절한가 등과 같은 구체적인 능력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인간과의 상호삭용이 필수적이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학문 (0) | 2020.09.24 |
---|---|
인간행동의 연구동향 (0) | 2020.09.24 |
인간의 행동적 특성 (0) | 2020.09.24 |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인간 (0) | 2020.09.08 |
인간행동의 이해 필요성 (0) | 2020.09.07 |